A Warp to Remember2024

단채널 비디오, 컬러, 사운드, 9분 59초 | 에세이필름, 실험영화


클릭하면 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. Click the image to watch the video. (PW: 1234) [Click here to watch the English version]



언젠가 열었던 그 문을 다시 찾기 위해, 나는 조각난 기억을 따라 시공간을 워프한다.

〈A Warp to Remember〉는 잊혔지만 결코 사라지지 않은 시공간을 향한 나의 은밀한 토템이자, 불완전한 기억과 상상력이 엮어내는 한 편의 감각적 시공간 드리프트다. 7살의 나는 누군가의 집 문을 열고, 낯선 동의 608호 안에서 익숙한 집 냄새와 우리 소파, 우리 카페트를 마주했다. 분명히 여기가 우리집이 아님을 알면서도, 나는 이끌리듯 그곳으로 걸어갔다. 이후에도 몇 번이고 워프를 시도했지만 어디에 도달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. 다만 그때마다 마음이 이상하게도 따뜻해졌고, 마치 잃어버린 장소가 여전히 어딘가에 존재하는 것만 같았다.

나는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그 집을 떠올리며, 언니와의 실제 통화 음성을 따라 기억의 조각들을 좇는다. 오래된 백업 폴더에서 꺼낸 이미지와 인공지능이 합성한 풍경은 흐릿하고 부정확하지만, 오히려 그 파편성과 불명료함이 기억과 놀랍도록 닮아 있다. 반복되는 워프의 서사 속에서 ‘시간은 흐르지 않으며, 시공간은 그저 그 자리에 머문다’는 믿음을 되새긴다. 잃어버린 집을 되찾기 위해, 나는 오늘도 조용히 다음 워프를 준비한다.


[시놉시스]
'나'는 언니에게 전화를 걸어 어릴 적 경험했던 시공간 워프(warp)의 기억을 털어놓는다. 워프의 기억은 생생하지만,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확인할 수 있는 증거는 없다. 이어지는 대화 속에서 기억의 문이 하나씩 열릴 때마다, '나'는 이제는 실재하지 않는 집을 재구성해 더듬어 본다. '집'은 물리적 공간인가, 아니면 기억과 감정의 상징인가? 기억만으로 존재했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을까?




In search of the door I once opened, I warp through time and space, piecing together shattered memories.

"A Warp to Remember" is my secret totem for a time-space that has been forgotten but never disappeared — a sensory drift woven from fragmented memories and imagination. At the age of seven, I opened the door to someone else's apartment and stepped into unit 608 of a building that wasn’t mine, only to be greeted by the familiar scent of home, our sofa, and our carpet. I knew it wasn’t our house, yet I walked in, as if drawn by something beyond logic. I kept attempting warps after that, though I can no longer recall where they led. Still, each time, I felt a strange warmth, as if the lost place might still exist somewhere.

Now, I recall the home that no longer exists, following fragments of memory through real phone conversations with my sister. Images retrieved from old backup folders and AI-generated landscapes are blurry and imprecise — yet this very fragmentation and ambiguity make them resemble memory itself. Through a narrative of repeated warps, I return to the belief that 'time does not flow; time-space simply stays where it was.' To reclaim the lost home, I quietly prepare for the next warp.

[Synopsis]
I call my sister and begin to share a childhood memory of a space-time warp I once experienced. The memory is vivid, yet there is no evidence to prove whether it truly happened. As our conversation unfolds and one door of memory opens after another, I begin to reconstruct the house that no longer exists. Is a 'home' a physical space, or a symbol of memory and emotion? Can something be proven to exist if it lives only in our memories?



A film by Jihyo Eom

2024 아시아 대학생·청년작가 미술축제 ASYAAF 공모 선정, ㈜조선일보사, 한국

Exhibited at
《아시아 대학생·청년작가 미술축제 ASYAAF》, 2024, 옛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, 한국, 서울
《Playing with Death》, 2023,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동 갤러리, 한국, 서울